본문 바로가기
약초 이야기

두뇌를 총명하게 하는 석창포石菖蒲

by 권배평 2021. 11. 28.
반응형

단오날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말이 있다.

두뇌를 총명하게 하지만 머릿결도 좋아지게 한다.

석창포石菖는 천남성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본초학에서는 정신을 맑게하는 '개규약開竅藥"이라 한다.

석창포는 혼란스런 정신을 안정시켜주며, 습체로 답답한 가슴을 시원스럽게 뚫어주고 소화도 잘되게 한다.

특히 귀에서 소리나는 이명현상을 완화시켜주며, 기억력을 증강시킨다.

마음의 울체를 풀어주는 요약 석창포! 심장을 신명나게 하는 약초이다.

 

1....(.. 心.胃 )

석창포는 그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맵다.

심장에 귀경하여 정신을 안정시키고 편안하게 한다. 위장에도 도움이 된다.

음식 먹고 체기가 있을 때 석창포를 차로 마시면 은은한 향기가 속을 따뜻하게 하여 편안하게 한다.

  

2.개규영신(開竅寧神) : 원지.복신.용골(안신정지환 安神定志丸)

 

석창포는 답답하게 막힌 것을 소통시키는데 이를 개규開竅라고 한다.

규는 구멍이라는 뜻으로 우리 몸에 9개의 구멍을 통하게 한다는 의미도 있다.

콧구멍 , 눈, 입, 소변, 대변, 피부, 귀, 두뇌의 숨구멍이다.

 

외부와 소통하는 우리 몸의 9개의 구멍을 소통시키는 석창포, 코막힘, 시력장애, 소화흡수, 대소변의 문제, 피부 가려움증, 이명, 불면증, 건망증에 좋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두뇌는 정신을 지배한다. 영신靈神이라는 말은 두뇌에 영향을 주어 정신을 편하게도 하지만  집중할 수 있게도 한다는 말이다.

석창포의 석石은 돌을 의미하지만 크게는 우리 몸의 돌 즉 두뇌를 말하기도 한다.

두뇌를 안정시켜 주고 막힌 생각을 뻥 뚫어지게 한다는 "총명차"의 근원이 여기에서 유래된 것은 아닐까?

원지. 복신. 용골가 들어가는 안신정지환 安神定志丸은 바로 총명탕의 원조이다.

원지는 아기풀뿌리요 복신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백복령의 핵심이다.

용골은 오래된 동물의 화석 가루로 밀가루처럼 나온다.

이 처방은 꼭 기억해야만 하는 것이 "치매"에도 좋기 때문이다. 자신을 잊어버리는 무서운 병이 치매이다.

나를 잊어버리는 상상하기도 끔찍한 말이다.

석창포에 들어 있는 "아사론"이라는 성분은 뇌신경이 죽어가는 것을 재생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3.불면허열 (不眠虛熱):초산조인.대추.용안육 치매를 예방하려면 잠을 푹 잘 자야 한다.

 

불면허열 (不眠虛熱)이라!! 잠을 자지 못하면 우리 몸에서 가짜 열인 허열이 뜬다.

이 가짜 열이 마음에 울분을 만들어 놀라게 하고 불안하게 조여오며 잠을 뒤척이게 하는 것이다.

이 울분을 제거해주는 것이 석창포의 역할이다.

이때는 초산조인.대추.용안육을 같이 사용한다.

좋은 아침을 맞게 하는 석창포가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이유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