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약초 기초이론21

환절기 알레르기성 비염에 좋은 신이화와 창이자 봄바람이 불어오면서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습니다. 화사한 꽃은 아름답지만 알레르기비염으로 고생하는 경우는 환절기 봄이 너무 괴롭습니다. 주체할수 없이 쏟아지는 재채기로 주위분들에게 오해를 일으킬 수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3대 증상으로 재채기,묽은 콧물,코막힘으로 대부분 나타나며 동시에 눈물이 나거나 눈이 충혈되고 가려우며 전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유전적이거나 가족력을 가지므로 가족들의 과거력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현대의학에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과 항체와의 관계로 설명하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종류가 약 2000여 가지로 알려져 있으나 대개 먼지 , 진드기균, 고양이털, 음식등으로 많이 나타납니다. 평소에는 건강하게 지내다가 과로가 겹치거나 감기가 오래 계속되.. 2022. 3. 6.
추동작용推動作用 기氣의 생리기능중에 첫번째가 추동작용推動作用입니다. 혈액과 진액의 흐름을 수송,유포,배출하며 몸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추진하는 것이 기운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기氣라는 것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우주宇宙와 우리 몸의 생리 기능을 유지하는 원천으로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속에서 기氣는 다섯 가지의 생리적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첫째는 추동작용推動作用이죠? "밀어낸다,혹 움직이게 한다"입니다. 심장은 혈액을 밀어내고, 맥박을 뛰게 만듭니다. 이 원동력이 기운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기운이 부족하면 맥박이 뛰지 못하고 생명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어지럽고 불안하게 됩니다. 잠도 푹 자지 못합니다. 이것을 한의학에서는 "기허증氣虛證"이라고 합니다. 기운이 추동작용을 못하여 심장이 생리기능을 못하게 되는.. 2022. 1. 22.
"기氣란 무엇인가?" 기氣의 의미 "기氣는 몸의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근본 요소로, 장부.경락의 생리활동에 필요한 기반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몸과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적 기초를 이룬다." 이번 시간에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기氣란 무엇인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기로 기운이 없다","인기가 있다","기가 차다","기가 막힌다","기가 쎄다","기를 모은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일상속에서 우리는 기氣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면서 기氣의 의미를 잘 모릅니다. 고대에는 운기雲氣 즉 기氣는 곧 구름같다고 합니다. 보고도 만져지지 않고 냄새나지도 않으며 느낄 수 도 없습니다. 기氣는 기운气자에 쌀米자가 들어있습니다.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곡식을 먹고 영양분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2022. 1. 22.
우리 몸의 음양의 균형을 맞추는 것 ''황제내경'' 황제내경 소문(素文) 陰陽者 天地道也 음양자천지도야 萬物之綱紀 만물지강기 變化之父母 변화지부모 生殺之本始 생살지본시 神明之府也 신명지부야 治病必求於本 치병필구어본 “음양은 하늘과 땅의 길이고, 삼라만상의 기강이며, 변화의 근원이고 살리고 죽이는 근본의 시작이며, 신명이 모여있는 곳이다. 병을 치료 할때는 반드시 근본 즉 음양의 조화를 찾아야 한다.” 음양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동양의학의 문헌 중의 하나인 ‘황제내경’에 중요한 의미가 있어서 살펴 보고자 합니다. 왜 음양이 중요한가. 왜 약초를 공부하는데 이 음양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면 안 되는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음양은 음은 차가운 것, 양은 따뜻한 것을 잊지 마시고 저를 따라오시면 됩니다. 음양자천지도야. 음양이라고 하는 것이 뭐냐. 천지만물의.. 2022. 1. 18.
쌀쌀한 날씨에 찾아오는 뇌졸중(중풍)전조증상 뇌졸중(중풍中風) 중(중풍中風)이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져서 뇌손상이 오고(뇌출혈), 그에 따른 후유증등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통칭하는 의미로 한의학에서 중경락과 중장부의 두가지 타입으로 나눈다. 중경락은 경미한 중풍으로 자기 살이 아닌듯 피부의 감각에 이상이 나타나고, 팔,다리가 뻣뻣해지거나 혹은 마비되어 움직여지지 않거나 눈과 입이 삐뚤어지면서(구안와사), 말을 어눌하게 하고, 입가로 침을 흘리고,목에 가래가 많이 끓는 소리가 난다. (편고탄탄偏固癱癱) 중장부는 중증으로 갑자기 정신이 아득하여 넘어진 후 반신을 쓰지못하거나(편고탄탄偏固癱癱), 전신을 쓰지 못하는 경우(풍비風匪,풍의風懿)로 말을 전혀 하지 못하고,정신과 의식이 흐려진다. 이럴 경우는 혼수상태가 지속되.. 2022.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