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약선차협회10

감기에 좋은 형개방풍차의 효능 감기는 어린 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매년 몇 번씩은 다 걸리지요. 특히 환절기 감기는 더 지독합니다.한번 걸렸다 하면 일주일은 보통이죠! 그만큼 우리의 몸덩이가 병사(病邪)와 싸울 수 있는 면역기능이 심하게 저하가 되었다는 것이지요. 병원에서 맞는"독감예방주사"에만 의존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감기는 평소 예방 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그까짓 감기쯤이야 하고 소홀히 여겼다간 큰 병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중이염, 비염, 기관지염, 폐렴, 폐결핵 등... 요즘은 알레르기성 피부염까지 극성을 부리지 않습니까? 감기의 주요증상은 콧물이 줄줄 흐르면서 머리가 아프고, 재채기에 목덜미가 뻣뻣하고 아프며, 추위를 아주 싫어하면서 ,열이 나고, 땀이 잘 나지는 않습니다. 특히 중병을 앓았던 적이 있거나, 손발이 차.. 2021. 10. 10.
꽃차로 기운을 보충해주는 법 보법 = 기운을 보충해준다 보법입니다. 보법은 네 가지밖에 없습니다. 기운을 보충해 주는 것, 혈액을 보충해 주는 것, 진액을 보충해 주는 것 그다음에 뭐예요? 따듯한 열에너지, 우리가 쉽게 말하면 뭐죠? 양기를 보충해 주는 것. 이렇게 네 가지를 꽃을 이용해서 잘 힐링할 수 있게끔 뭔가 도와준다는 것이죠. 이렇게 보법에 응용할 수 있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온법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했듯이 비위를 따듯하게 해서 쉽게 말하면 속을 따뜻하게 해서 한사를 물리쳐주고, 그러니까 속을 따뜻하게 하니까 차가운 기운이 없어지겠죠. 열에너지 = 온법 그다음에 열에너지를 북돋아주고 소통을 잘 시켜주고 순환을 잘 시켜주는 계기가 바로 온법이 되겠죠. 그래서 따뜻한 양기를 회복하게끔 도와주는 힐링의 방법에 꽃을 사용한다라.. 2021. 7. 13.
한열을 조화시켜주는 꽃차 한열을 조화시켜준다 꽃차의 각가지 특성이 한열을 조화시켜주고 기혈을 조화시켜서 잘 흡수하게끔 도와준다. 그래서 이 화법의 대표적인 것이 감초, 생강, 대추, 계피였죠. 여기에 꽃차를 가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화시켜주는 작용도 꽃차가 한다는 것이죠. 그다음에는 하법입니다. 하법은 무슨 뜻이냐? 우리 몸속에 있는 불순물을 배설을 잘되게 한다 이런 뜻이겠죠. 꽃차가 그 역할을 약초와 더불어 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변비가 심하거나 소변을 잘 보지 못한다 그러면 하법을 써야 되겠죠. 패랭이꽃 여러분 흔히 알고 있는 패랭이꽃 아시죠? 이 패랭이꽃이 방광염 염증을 잘 줄여서 소변을 잘 보게 하는 꽃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소화를 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대표적으로 아까 말했듯이 .. 2021. 7. 13.
땀을 심장의 진액이라 합니다. 자한증 한의학에서는 오장육부와 관련하여 한의학에서는 오장육부와 관련하여 땀을 심장의 진액이라 합니다.피땀을 흘린다는 말이 있지요? 사람들은 목욕탕에 가서 땀을 억지로 흘리는 것을 권장하고 좋아합니다. 하지만 땀을 흘리고 나면 기진맥진하여 어지럽습니다. 잘못하면 빈혈을 일으키며,구토를 일으키고 응급실에 실려갈 만큼 심각한 경우도 있습니다. 인체의 생명을 살리는 피를 돈주고 흘리는 것과 같습니다. 땀은 氣(기) 그 자체 또한 땀은 氣(기) 그 자체라고 합니다. 땀을 많이 흘리면 진액이 소모되는 것은 물론이요, 진기가 빠지게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특히 심장 박동의 기운이 부족해집니다. 여름철 땡볓에서 땀을 흘려 사망하는 일사병은 땀을 많이 흘려 심장의 박동이 멈추기 때문입니다. 아주 치명적인 증상으로 나타납.. 2021. 6. 25.
사물탕을 다시 조명하며...두통과 빈혈을 다스리다! 사물탕을 공부했습니다 수업시간에서도 언급을 했지만,사물이란 4가지 약재를 가리키며, 이 약재들이 혈을 구성하는 4대요소,즉 백혈구,적혈구,혈장,혈소판의 구성역활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귀와 천궁은 백혈구와 적혈구의 역활을,작약은 혈장의 역활을, 숙지황은 혈소판의 역활을 합니다.이름하여 인공혈액의 역활을 하는 것입니다. 사계절 즉 봄,여름,가을,겨울의 기운을 받아 혈이 부족하여 위급할 때, 마치 수혈하는 것처럼 혈을 보충하는 사물탕은 너무나 귀중한 방제입니다. 혈액이 부족한 것을 변증에서는 혈허라고 합니다. 혈허(血虛) 앞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혈허(血虛)란 인체내에 피가 부족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두훈(頭暈)), 눈앞이 아찔해지며 안화(眼花),얼굴에 혈색이 적으며 (면색광백무택(面色光白無澤), 귀에서 소.. 2021.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