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 이야기

머리를 총명하게하는 용안육이야기

by 권배평 2021. 9. 25.
반응형

용안육

송나라 제생방濟生方에 나오는 유명한 약선차중에서 여성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며

월경부조.불면증.불안.우울증을 줄여 주는 약선차가 귀비탕이며 이 귀비탕의 주재료가 용안육이다.

귀비탕은 비장을 귀하게 하며, 정신적 기체氣滯 즉 막힘을 소통시켜 울체鬱滯를 풀어준다 하여 해울차라고 한다.

용안육龍眼肉은 원안圓眼이라 하여 옛날부터 약장에서 하나씩 꺼내어 먹을 정도로 아주 달다.

용안육은 무환자나무과의 용안의 과실로서 베트남에서 산출되는 것이 최상품이다.

“용의 눈”이란 의미에서 볼수 있듯이 용안육은 껍질을 벗겨보면 하얀 속살로 되어 있으며 물기가 많이 흐르면서 단내가 많이 난다.

왜 하필 용의 눈이라고 했는 지는 아래에서 소개하기로 하고,

나무에서 바로 따면 겉모양이 부리부리한 털과 함께 유명한 화보속에 나오는 용의 눈을 부릅뜬 모습이 형상화된 것이다.

옛날 전설상의 동물인 숫용 교룡이 매년 한 차례 암용을 만나러 하늘로 올라갈 때면 큰 풍파를 일으켜 수해를 당하자 농민들의 원성이 높았다.

계원이라 불리는 청년은 세상을 뒤흔드는 이러한 교룡의 풍파.수해로 부모를 잃고 복수를 위해 무공을 닦아 보검으로 교룡을 베어 죽였는데 용의 눈 한쪽을 먹고 신선이 되었으며,

나머지 하나는 땅에 덜어져 싹이 트고 나무로 자라게 되면서,동그란 열매를 맺었는데 용의 눈처럼 보였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용안수”라 부르고, 열매를 “계원육”이라 불렀는데,처방에는 원육元肉이라고 쓰기도 한다.

용안육은 베트남.중국.태국등 동남아에서 많이 생산된다. 용안육은 성미가 꿀같이 달고 따스하며 심장. 비장에 귀경하여 진정. 안신작용이 현저하여

정신적인 업무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신경과민으로 인한 가슴두근거림. 불안. 초조. 우울증을 해소하는데 사용한다.

 

용안육은 특히 학업에 열중하는 학생이나 국가자격증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복용시키면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집중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주부들의 건망증.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총명차의 주재료가 된다.

용안육은  심혈을 보충하고, 심장을 안정시켜 어지러우면서 빈혈 증상이 있고,

음식 맛이 없으며 식은 땀을 많이 흘리는 혈허증상에 탁월하다.

혈액이 충족되면 잠을 편한하게 잘 자게 도와 주지만 너무 달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고심하거나 부종이 심한 경우에 많이 복용하면 몸이 무거워진다.

마지막으로 대장이 약하여 과민성 설사에도 사용하며, 감기예방에 좋은 쌍화차에 넣어주면 설탕을 사용하지 않아도 맛이 훌륭하다.   

 

 

반응형

 

 

독활환 300g 겨우살이와 법재했습니다 : 권배평 약초교실

[권배평 약초교실] 동보 권배평약초교실 ▶ 자연속에서 키워낸 제철 약초를 재배해 몸의 힐링을 위한 착한 먹거리

smartstore.naver.com

 

좋은아침환 300g 권배평약초교실 : 권배평 약초교실

[권배평 약초교실] 동보 권배평약초교실 ▶ 자연속에서 키워낸 제철 약초를 재배해 몸의 힐링을 위한 착한 먹거리

smartstore.naver.com

 

쌍화차 30개입 티백차 (권배평약초교실) : 권배평 약초교실

[권배평 약초교실] 동보 권배평약초교실 ▶ 자연속에서 키워낸 제철 약초를 재배해 몸의 힐링을 위한 착한 먹거리

smartstore.naver.com

스마트스토어
''권배평약초교실'' 검색

 

< 한국약선차협회 >

한국약선차협회 지회는 전국에 있습니다. 

강릉,부산,아산,원주,인천,청라,제천,횡성,평창,홍성,청주,공주,남양주,포천,수원, 세종지회등 전국에 지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약초를 가지고 기초부터 심화까지 실습및 이론수업을 합니다! 

각 지역에서 한국전통차전문가 1,2,3급 민간자격증 원하시는 분은 문의 바랍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010-6322-3167로 연락주시면 각 지회로 연결해드리겠습니다. 

 

약藥는 한자로 藥 즐거울 락樂에 풀 초草를 사용합니다.

 

우리 몸을 즐겁게 하는 자연 속에서 나는 제철 먹거리입니다.

스스로 생활 속에서 자신의 몸을 연구하고 우리 땅 들과 산에서 자생하는 약초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약초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약초 공부는 의학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입니다.

생활 속에서 싹 틔어 꽃 피우고 결실을 맺는 공부입니다.

모두가 배울 수 있고 자발적으로 연구하여 몸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약초에 대해서 관심이 많으신 분들을 위해 추천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