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권배평약초교실15

미세먼지에좋은 맥문동이야기와 맥문동효능 안녕하세요! 한국약선차협회를 운영하는 권배평입니다. 미세먼지에 사삼과 궁합이 제일 잘 맞는 약초가 맥문동麥門冬입니다. 옛날 우임금이 치수에 성공한 후 농사가 풍작을 이루자 식량을 강에 버리도록 명령했는데 훗날 강가에 풀이 자랐고 바로 맥문동이었습니다. 이풀을 우여량禹餘糧이라고 불렀다고 해요. 이제부터 미세먼지에 좋은 맥문동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 합니다. 맥문동의 전설 중국 고대 후한때 부잣집에서 일하던 여자 노비가 노동에 시달리다가 산속으로 도망을 쳤다. 여자 노비는 산 속에서 먹을 것이 없었다. 배가 고픈 여자 노비가 주위를 돌아보니 여기저기 보랏빛 꽃들로 가득하고, 보리싹을 닮은 잎들은 층층이 겹쳐있으며 , 뿌리를 캐보니 사이 사이에 주렁주렁 과자처럼 매달려 있어 신기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허기진 배.. 2021. 1. 26.
목이 아플땐 총시길경탕 환절기에 감기기운이 있으면서 몸에 열이 점점 나면서 목이붓고 아프며 누런 가래를 뱉어내고 기침을 자주할 때 간단하게 재료를 구하여 끓여 먹을수 있는 것이 총시길경탕입니다. 총시길경탕은 열이 나면서 목이 붓고 아프며 누런가래를 뱉어내고 기침을 자주 할때 좋습니다 총시길경탕은 소풍해표의 효능이 있으며, 병증으로는 총 6가지가 있습니다. 두통과 인통, 풍온, 풍한, 해수, 신열의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인데요 두통은 머리전체가 아프거나 지끈거리는 것이고, 인통은 목구멍에 힘이들고 아픈 것입니다. 풍온은 몸에 열이 심하게 나고, 무지근한 현상입니다. 풍한은 풍사와 한사가 겹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풍한이 표에 침범하면 위양을 상하기 때문에 바람을 싫어하고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고 머리와 온몸이 아프며 코가 메.. 2021. 1. 25.
기침, 천식의 약초 오미자의 효능, 천식을 약초로 해결하는 방법 기침, 천식에 오미자(五味子) 기침, 천식을 약초로 해결하는 방법 감기로 인하여 오랫동안 기침을 하면 폐(肺)의 기운이 많이 소모된 증거입니다. 기침소리가 약하고 숨이 차며 기운이 없으면 이를 허증(虛症) 기침, 천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호흡곤란이 찾아오면서 호흡이 발작적으로 빨라지며 콧구멍이 벌렁거리고 입을 다물지 못하고 어깨까지 들먹이며 반듯하게 누울 수조차 없게 됩니다. 이럴 때는 치료가 쉽지 않은 상태로 평소에 미리 예방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오미자산(五味子散)은 아주 중요합니다. 오미자산(五味子散) 오미자(五味子)행인(杏仁)패모(貝母)길경(桔梗)상백피(桑白皮)맥문동(麥門冬) 오미자(五味子)는 신맛을 내는 약재이지만 쓴맛, 신맛, 단맛, 매운맛, 짠맛의 5가지.. 2021. 1. 10.
현대인이 불안할 때 귀비탕 Unsp 보혈약을 공부하면서 제가 가장 강조했던 방제가 귀비탕입니다. 귀비탕은 이름하여 "비장을 가장 귀하게 하는 탕약"이라는 의미입니다. 비장을 귀하게 한다는 것이 무엇일까? 비장은 인체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혈을 만들어 내는 원천 즉 "샘"과 같은 기관으로 비장이 건강해야 "혈을 공급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이 됩니다. 또한 두뇌가 혈액의 공급을 받아 집중력이 생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비장은 음식을 소화시켜 얻어진 영양분 즉 "정미물질"을 운반하여 전신에 공급하도록 폐의 기운을 빌립니다. 특히 이를 가리켜 "운화작용(運化作用), 승청(升淸)"이라 합니다. 승청은 "위로 올린다" " 머리로 올린다"는 뜻입니다. 추측하건대 비장에서 머리가 뽑아져 나온 것이 아닐까요? 머리가 영양공급을 잘 받는.. 2020. 12. 26.
동보 권배평약초교실 안녕하세요 권배평입니다. 여러분과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저는 서강대학교 사학과(학사)를 졸업하고 동국한의과대학 및 삼라한의과대학에서 한의학(석사)을 마치고 Universal Medical Center에서 한방과장으로 근무하였고, 귀국한 후 일반인을 위한 생활한방 및 약선차를 강의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럽, 미국, 남미 등 지구촌 곳곳에서는 지구온난화현상과 환경오염으로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 모를 현대불치병들을 자연적인 요법을 통하여 보다 손쉽게 해결하고자 자연의학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동양의학을 근간으로 하는 생약초, 경락을 이용한 침, 뜸,츄나요법,향기요법등 자연요법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수 백년 전통 동양의학의 문화유산을 물려받은 우리들.. 2020.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