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氣의 의미
"기氣는 몸의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근본 요소로, 장부.경락의 생리활동에 필요한 기반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몸과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적 기초를 이룬다."
이번 시간에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기氣란 무엇인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기로 기운이 없다","인기가 있다","기가 차다","기가 막힌다","기가 쎄다","기를 모은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일상속에서 우리는 기氣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면서 기氣의 의미를 잘 모릅니다.
고대에는 운기雲氣 즉 기氣는 곧 구름같다고 합니다. 보고도 만져지지 않고 냄새나지도 않으며 느낄 수 도 없습니다.
기氣는 기운气자에 쌀米자가 들어있습니다.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곡식을 먹고 영양분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한의학에서 기氣는 생명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서 "숨" 즉 호흡을 의미합니다.
"숨이 차다"는 기운이 없다는 대표적 증상으로,
숨이 차며 "말하기 싫어하며 목소리가 작게 들린다" 역시 기운이 없다는 표시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기氣는 정精의 아버지요 신神의 할아버지라"고 말하면서
기氣는 정精과 신神의 뿌리로서 기氣가 몸의 구성과 활동의 가장 근본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운이 없으면 오장육부의 병리적인 증상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기운이 돌아야 오장육부가 움직인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약초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 알레르기성 비염에 좋은 신이화와 창이자 (0) | 2022.03.06 |
---|---|
추동작용推動作用 (0) | 2022.01.22 |
우리 몸의 음양의 균형을 맞추는 것 ''황제내경'' (1) | 2022.01.18 |
쌀쌀한 날씨에 찾아오는 뇌졸중(중풍)전조증상 (0) | 2022.01.08 |
약초의관 배오계配伍關係란? (0) | 2022.01.04 |
댓글